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메탈슬러그 탈것 만들기 - 슬러그노이드 (SVX-15D SLUGNOID in Metalslug)

애시-네로 모델링 : https://dustofcosmos.blogspot.com/2018/10/blog-post.html

애시-네로 출력 : https://dustofcosmos.blogspot.com/2018/10/blog-post_17.html

애시-네로 도색 : http://dustofcosmos.blogspot.com/2019/01/2-stage2.html

슬러그노이드 모델링 : http://dustofcosmos.blogspot.com/2019/03/svx-15d-slognoid-modeling.html


완성사진부터...




2018년, 애시-네로를 제작하면서 그 숙적인 슬러그노이드를 제작하여 한 세트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누구나 실전 들어가기 전에 계획을 세우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타이슨 형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맞기 전엔 누구나 그럴싸한 계획이 있다고.


애시-네로 포스팅에 적었던 내용입니다만, 

첫번째 문제는 애시-네로 탑의 통나무 통로가 매우 좁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통로 위에 서있을 만한 크기로 슬러그 노이드를 뽑는다면 크기가 작아질 수 밖에 없죠.

칼을 뽑았으면 무라도 썰겠다는 각오로, 발판 앞뒤 길이 3cm의 작고 귀여운 슬러그노이드를 출력합니다.






레진 프린터 FAB PRO가 수고해주시겠습니다.


출력 결과입니다.

저사다리 사이에 보배가 숨겨져 있겠지!


는 실패.

긴 발굴작업 끝에, 손톱보다 작은 캐릭터 얼굴을 보며 잠시 좌절해줍니다.




이번엔, 좀더 크게 뽑아봅시다.

사진 오른쪽이 슬러그노이드입니다.

왼쪽은 신경쓰지 마세요. 그냥 티파(FF7 remake) 입니다.


훨씬 거대하게 나왔습니다만. 하지만...

모자와 안경 틈에 서포터가 너무 많아서 머리칼과 모자를 구분할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결국, 이쯤에서 결단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귀찮지만 분할하기로.


피오 피규어는 무릎부분에서 잘랐습니다.

어차피 조립하면 안보이거든요.


분할한 파츠를 몇개씩 뽑아줍니다.

분할의 효과로, 원피스보다 더더욱 큰 크기로 뽑아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 장갑판입니다.

저 05는 뭘까요? 5호기...? 


메탈슬러그의 마스코트! 피오입니다.




메인프레임입니다.

다리가 연결될 부위와 앞 장갑판과 연결될 부위를 찍어보았습니다.



이번엔 머신건을 뽑았습니다.

혹시 서포터 오류가 있을지 모르므로... 각도를 다르게 하여 7개를 한번에 뽑아봅니다.



파츠 출력이 끝났습니다.

피오 - 메인프레임 - 앞장갑판 - 머신건 * 2 - 머신건 지지대 *2 - 다리 * 2 - 다리 커버 * 2


가조립을 해봅니다.

이번엔 훨씬 잘 나왔네요, 크기도 커져서 사포질도 해줄만 합니다.


이제 도색을 시작합니다.

먼저, 마스코트 피오부터.



머신건 조인트와 헤드라이트 부분은 금색으로 도색해줍니다.


커버는 사막모래와 카키색을 적당히 섞어서 조색하였습니다.

프레임은 검은색과 펄화이트를 섞어서 건메탈 느낌을 내줍니다.



탑승!!!

정면 장갑판을 조립해주면....



버니어는 메탈릭레드로 도색해줍니다.


장갑판 측면 각진 부분은 도색이 벗겨져 금속이 드러난 형태를 흉내내봅니다.


슬러그노이드의 상징, 고간포입니다.

숨풍~


숨막히는 뒤태


측면도 치핑 흔적으 내주고, 볼트도 은색으로 도색해줍니다.


뒷면 설정화 원화를 찾지 못했습니다.

제 멋대로 상상해서 만들었어요.

좀더 복잡하게 할까 하다가 귀차니즘과 적당히 타협을 보았습니다.



안타깝게도, 결국 비율을 재현해내는데는 실패한 샷입니다.

그래도, 언젠가 슬러그노이드와 애시 네로를 동시에 전시하겠다던 약속은 지킨셈 이네요.







해당 모델링 파일은, 조금 더 다듬은 다음 해외 웹사이트에서 판매해볼까 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3D Printer Ender-3 막힌 노즐nozzle 뚫기

구매하여 가지고 논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갑작스러운 고장이 찾아왔습니다. 어느순간부터, 출력물 측면 상태가 압출량이 부족한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드는 현상이 보이다가, 급기야 익스트루더가 필라멘트를 제대로 밀어주지 못하고 뒤로 튕기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3D 프린터를 다루시던 분은 한 번 쯤은 경험이 있지싶네요. 익스트루더가 '딱~! 딱~!'하며 주기적으로 뒤로 튕기는 현상을... 처음엔 익스트루더 기어가 제대로 물리지 못했거나 기어-베어링간 장력 조절이 잘못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쪽을 주물러 보았습니다. 이후엔 레벨링이 잘못되어 (노즐과 베드가 너무 가까워서) 압출이 안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어요. 두가지 모두 문제가 없습니다. 가장 상정하기 싫은 마지막 문제를 고려해봐야하는 시간입니다. 노.즐.이.막.혔.다. 일단 노즐을 분해해봅니다. 먼저, 피팅의 호스를 잡아뺍니다. ...? 안빠지네요? 이땐 몰랐지만, 분해하고 보니 호스까지 용융된 필라멘트가 밀려올라오는 바람에 호스까지 히팅블럭에 붙어버린 상태였습니다. ABS 온도 240℃로 가열해주고, 피팅 자체를 스패너로 분리합니다. 노즐 전면의 접시머리 2mm 육각볼트 두개를 분해합니다. 히팅블럭이 드러납니다. 역시 2mm 육각볼트로 분해해줍니다. 노즐부근을 감싼 고무를 벗겨내주고 열 센서와 발열파츠를 분해합니다. 센서는 십자드라이버로 돌려서 풀어주면 되고, 발열파츠는 하부에 있는 무두볼트 (1.5mm)를 풀면 옆으로 분해됩니다. 센서분해 발열부 분해 방열판과 히팅블럭을 분해합니다. 납작머리 육각볼트를 풀어주고, 방열판의 무두볼트를 풀어주면 분해 완료. 하이라이트, 노즐 분해. .. 압축된 PLA의 접착력 떄문에 풀기 어려웠습니다. ...

3D 프린터로 건담 수리하기(Repairing the broken gunpla with 3D Printer)

어느새 1년도 넘어 장기화되어가는 코로나19사태로 인하여 외부 활동을 하기 힘든 최근입니다. 아무래도 사람을 만나지 않는 게 상책이다보니, 주말에 집에서 놀만한 거리를 찾는게 중요하겠죠. 그리하여 이사 후 한동안 전시공간이 부족하여 개봉하지 않았던 건프라를 꺼내게 되었습니다. 첫 개봉하신 분은, 이름하야 RX-178 gundam MK-II MG Ver.2.0 BOX Art는 아래와 같습니다. 흠 그런데... 이 모델, 2005년에 발매된 꽤 오래된 분이십니다. 금형을 꽤 여러번 사용한 것인지 몇몇 곳에 지느러미가 눈에 띄기도 하고 유격이 잘 맞지 않는 부위도 있습니다. 급기야, 상체를 가조립 하던 중, 아들이 포즈를 잡아보려고 팔을 움직여보다가 왼팔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맙니다. 나는 그만 정신을 잃고 말았습니다.  왼팔을 분해해봅니다. 굉장히 작고 예민한 녀석이 팔꿈치 관절을 버티고 있었군요. 하지만 우리에겐 3D 프린터가 있습니다. 조카몬의 공격으로 건담의 뿔이 모조리 박살나는 문제가 생겨도 복구가 가능한 것이죠. 외과 수술을 통해 왼팔을 다친 건담 마크2를 고쳐줄 겁니다. 닥터K님처럼! 우선, 부서진 부품을 버니어 캘리퍼스를 동원하여 정밀하게 측정합니다. 0.1mm 단위까지 정밀하게... 그리고 출력을 하게되면서 깨닫습니다. 배가본드 6권 아 맞다..... 아무리 측정을 잘해도 프린터 공차가 발생하는데 하나도 쓰잘데기 없는 짓을 왜 열중했을까 헣헣.. 결국 무식하지만 확실한 방법, 0.2mm씩 크기를 바꿔가며 여러개를 뽑아보기로 합니다. 모델링 단계부터 약간의 크기 차이를 둔 형태를 뽑아서... 각 관절에 잘 맞는 크기가 어떤 모델인지 확인해봅니다. 맞는 치수를 찾았으면, 이번엔 길이를 바꿔가며 해볼 차례입니다. 크기가 작아서 1개 출력하는데 약 8분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길이도 여러가지로 바꿔가며 뽑아봅시다 Show me the Money!!! - 재료비? 새로 하나 사는 것 보다 매우 싸요! - 잘 맞는 길이를 찾아 ...

3D 프린터로 효시 만들고 실험발시 해보기 (Making whistle arrow & shoting)

2011년에 출전했던 세계민족궁 대축전에서 본 몽골의 효시는 매우 이색적이었습니다. 큰 휘파람소리를 내며 날아가는 모습에, 하나 가지고픈 소유욕이 생겼지요. 하지만 몽골 전통식 뼈로 제작된 것은 가격이 비싸서, 플라스틱 구슬과 탁구공으로 수제 효시를 제작해보았습니다. 1. 플라스틱 구슬 제작 : 화살에 끼우고 손으로 휘둘렀을 때 작은 호루라기 소리가 났으나, 활에 걸어서 발사하니 전혀 소리가 나지 않음. 2. 탁구공 제작 : 날카롭고 높은 소리가 났으나, 정확한 비율을 잡지 못한 상태로 제작한 결과 탄도안정성이 엉망. (미사일을 회피기동하는 전투기..처럼 화살 궤도가 불규칙하게 꺾임) 3D Printer로 제작하면 더욱 정확히 align을 맞출 수 있지않을까? 라는 생각에 시도해보게 되었습니다. 마침 thingiverse에도 whistle arrow라는 이름으로 여러종류의 모델이 올라와 있어서, 그 모델들과 제가 제작한 모델을 하나씩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사용한 장비 ---------------- 출력 : Cubicon ABS nozzle 235℃, bed 110℃ 시험발시 : 개량국궁 54파운드 / 개량화살 2자 7치, 7돈 1. 피리형 효시  출처 : https://www.thingiverse.com/thing:1171287  출력 특이사항 : 길이가 너무 길어서 길이를 줄인 형태로 출력. 발시 결과 전혀 소리가 나지 않음. 길이를 줄인 것이 원인일지도.. 2. 서양식 효시  출처 : https://www.thingiverse.com/thing:27728  출력 특이사항 : 서양식 화살촉에 연결하는 나사산을 빼버리고 화살대가 들어갈 수 있도록 홈으로 개조. 매우 날카로운 소리가 미약하게 들리는 수준. 특이사항으로, 화살촉에 부착하는 특성상 굉장히 파손이 잘 됨. 다른 디자인에 비해 공기저항이 ...